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 방법

윤까망 뉴스 2023. 2. 17. 12:57

매년 해가 바뀌면서 급여에 관한 부분이 조금씩 변화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휴수당에 대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십니다. 주휴수당은 지급기준이 따로 있고 계산 방법은 간단합니다.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게 아니고 급여에서 생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니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이란?

우선 주휴란 일주일에 한번 휴가라는 뜻입니다. 즉 근로기준법상 규정하고 있는 근무일수를 모두 채웠을 시에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입니다.

 

주 5일을 8시간 근무하는 자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8시간 x 5일 + 8시간 (주휴일) = 48시간

 

이렇게 계산이 됩니다. 하루치의 유급휴가가 생겼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우선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는 모두 채워야 합니다.

 

만약 월급으로 받으시는 분들이라면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간제 근무자(알바)라면 1주일에 15시간 이상을 기준으로 합니다.

 

알바몬이나 알바천국을 찾아보시면 평일 알바를 주 14시간으로 맞춰서 구하시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썸네일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 계산은 찾아줘 세무사 사이트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로그인은 필요 없이 바로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사이트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기 사이트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계산기 주휴수당,주휴수당계산기,월급계산기,시급계산기,최저임금,급여계산기 www.findsemusa.com

bgp.yunblack.com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본인의 지급기준에 맞게 기입을 하시면 됩니다. 그럼 세금과 주휴수당 등 세부내역까지 모두 조회가 가능합니다.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주휴수당 계산 예시

이렇게 까지 해도 조금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만약 정직원으로 근로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최저월급이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 표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3 최저임금

2023년 주휴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급여를 받으심에 있어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당 중 하니기 때문에 꼭 계산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연차발생기준

 

연차발생기준 (2023년 근로기준법 적용)

근로자들의 권리인 연차발생기준에 대해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반 직장인들을 기준으로 하면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15일에 연차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작은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근

main.yunblac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