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직접 알아본 후기!

윤까망 뉴스 2022. 12. 26. 17:22

점점 국민연금을 받을 나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태껏 납부했던 국민연금을 이제 돌려받을 때가 왔는데요. 수령액이 어떻게 되는지 참 궁금합니다. 수령액 조회뿐만 아니라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직접 해보자!

만 65세 이상이 되면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평균적인 수급액은 약 59만 원 정도 되는데요. 과연 나는 평균 이상의 금액을 수령받을 수 있을까요?

 

조회를 하는데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직접 조회 (PC, 모바일)

2. 표를 보고 대략적인 금액 확인 

 

두 가지 방법 모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조회 (PC)

우선 국민연금 사이트에 접속하여 내 연금 알아보기 카테고리로 가주셔야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사이트 접속 바로가기

 

1. 위 홈페이지로 접속을 해주시면 해당 페이지가 나옵니다. 예상 연금액 조회를 눌러주시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요. 요즘은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카카오톡, 은행어플 등으로 간단히 로그인기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직접 조회 (PC) 1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2. 로그인 진행 하시고 예상금액 알아보기로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접속을 하다 보면 사이트가 조금 느릴 수도 있습니다. 천천히 기다려주시면 접속이 됩니다. 너무 오랫동안 접속이 안될 경우에는 재접속해주세요. 

국민연금 수령액 직접 조회 (PC) 2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3. 모든 연금 조회 말고 국민연금만 조회하기 위해서는 "내 연금 알아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바로 조회는 불가능하고 신청을 해주신 후 3일 뒤 조회가 가능합니다. 본인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따라 재계산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직접 조회 (PC) 3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직접 조회 (PC) 4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직접조회 (모바일)

 

1. 모바일 어플에 국민연금 어플을 다운로드해 줍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직접 조회 (모바일) 1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2. pc와 마찬가지로 로그인을 해준 후 조회를 눌러줍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3. 조회버튼을 누른 후 예상 노령연금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납부 수령액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내가 낸 보험료가 얼마나 되길래 이렇게 받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으십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도 가능하니 납부한 기간, 금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 기간 및 금액 조회

먼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줍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 바로가기!

 

1. 전자민원 -> 개인민원으로 접속해 줍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2. 개인서비스를 눌러줍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3. 조회버튼을 누르고 가입내역 조회를 해주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표로 간단하게 알아보기!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에서 본인의 소득 월평균액을 계산만 해주시면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표 1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표 2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표 3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표 4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언제부터 수령이 가능할까?

출생연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 나이가 달라집니다. 헷갈리시는 분들은 그냥 65세부터 받는다고 생각을 해주시면 됩니다.

출생연도 국민연금 수령 나이
1952년생 이전 60세
1953 ~ 1956년생 61세
1957 ~ 1960년생 62세
1961 ~ 1964년생 63세
1965 ~ 19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본인이 해당하는 수령나이가 있긴 하지만 필요에 따라 빨리 받거나 늦게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단 그냥 주지는 않고 정상 지급비율 100을 기준으로 금액이 증가 혹은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구분 1년 2년 3년 4년 5년
조기수령 -6% -12% -18% -24% -30%
연기수령 +7.2% +14.4% +21.6% +28.8% +36%

 

국민연금 자주 묻는 질문들 종합!

Q. 회사를 다니면서 계속 납부를 했던 국민연금.. 퇴사 후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도 국민연금을 가입해야 할까요?

A. 지역가입자로 가입을 해주시거나, 납부예외 신청을 해주시면 국민연금 납부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Q. 이미 남편이 국민연금 가입을 했는데 부인도 해야 할까요?

A.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꼭 가입을 해주셔야 합니다. 국민연금은 가족단위가 아닌 개인별로 가입을 하는 것입니다.

 

Q. 저는 일용직이나 시간제 근로자로 소득활동을 하고 있는데 가입을 해야 하나요?

A.  일용근로자나 1개월 미만으로 기한을 정하는 경우에는 가입대상에서 제외가 됩니다. 
      조금 헷갈릴 수도 있기 때문에 가입대장을 아래 사진으로 대체하겠습니다.

국민연금 가입대상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Q. 소득이 없어서 납부예외 신청을 했었는데 연장이 가능할까요?

A. 당연히 가능합니다.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언제든 납부예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전자민원-개인민원-소득 없는 개인의 납부예외 신청 순으로 접속을 하여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Q. 납부예외 기간 동안 납부하지 않으면 나중에 한 번에 내야하나요?

A.  아닙니다. 하지만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연급수급을 위한 최소가입기간인 120개월을 채우지 못하거나, 연금액을 많이 받지는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따로 추가 납부를 할 수 있으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