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모급여 대상자와 신청방법

by 윤까망 뉴스 2023. 1. 7.

낮아지고 있는 출산율 덕분에 아이를 낳는 부모들에게 주는 혜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부모급여인데요. 2023년 1월부터 부모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막상 아이를 낳고 나니 걱정되는 금전적인 문제를 한시름 덜 수 있기를 바랍니다.

 

 

부모급여 대상자 나도 포함 될 까?

  • 2023년 1월 기준으로 만 0세가 되는 아동은 월 70만 원
  • 2023년 1월 기준으로 만 1세가 되는 아동은 월 35만 원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이 되고 기존에 있던 영아수당 지급계획과는 동일합니다. 

 

2024년부터는 지원금 금액이 조금 더 확장됩니다.

 

-2024년 기준

  • 만 0세 아동 월 100만 원
  • 만 1세 아동은 월 50만 원

만약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만 0세, 만 1세 모두 보육료 바우처를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약 51만 4000원이나 해당하는 금액이니 꼭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만 0세의 아이인 경우에는 부모급여가 월 70만 원으로 더 큽니다. 그 차액인 18만 6,000원은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따라서 만 1세의 아이를 둔 경우에는 보육료 바우처를 받는 것이 이득이지만 그렇지 않은 만 0세 아이를 둔 분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주 쉬운 신청방법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해서 60일 이내에 신청을 해야 합니다. 60일이면 겨우 2달 남짓한 시간이니 시간 되실 때 바로 신청하시는 것이 좋겠죠?

Q. 만약 출생 후 60일이 지났다면 신청을 못하나요?
A. 그건 아닙니다. 하지만 60일 이전 신청자는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소급해서 지원금을 드리지만 60일이 지난 후에는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소급해서 지원금을 드립니다. 조금 더 손해를 보게 됩니다.

방문 신청과 온라인 신청방법이 있습니다. 방문 신청은 대리 신청이 가능하지만 온라인 신청은 친부모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행복출산원스톱 서비스 바로가기

 

복지로 사이트 바로가기

 

위 사이트에서 신청을 하면 되는데요. 행복출산원스톱서비스에서는 온라인 출생신고와 함께 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 방법

주소지와 상관없이 근처 주민센터에 방문을 하시면 됩니다.

 

필수로 필요한 서류로는 사회보장급여 신청서가 있지만 주민센터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그 외로 신분증과 지원금 받을 통장사본 등이 필요한데요. 주변 주민센터에 통화하셔서 추가로 필요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심이 좋습니다. 

부모급여

자주 묻는 질문들

Q. 만약 신청을 하게 되면 언제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나요?

A. 매월 25일에 지급을 받게 됩니다. 만약 27일에 신청을 해서 남은 부분은 다음 달 25일에 통합해서 받게 됩니다.

 

Q.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지급을 받나요?

A. 혼선을 막기 위해 바우처로 우선 지급받게 됩니다. 만약 바우처로 지급받는 액수가 더 적다면 나머지에 해당하는 금액은 현금으로 지급받습니다.


양육비 때문에 금액적으로 많이 부담이 됩니다. 하지만 올해부터 부모급여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고 내년에는 더욱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들은 싹 다 챙기시길 바랍니다.

 

댓글